Sallyyang
양연희 Sallyyang
2021 브레멘예술대학교 통합디자인 3학기 수료
2016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미디어디자인 석사
2010 가천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서양화전공 학사
Exhibitions
[ 개인전 ]
2024 <봄이 다시 오면>, 서초구립양재도서관, 3.23 - 5.11
2023 <현기증, 감정들>, 포레리움, 7.28 - 8.28
2021 <마음의 정경>, 창생공간 재미, 3.2 - 3.21
[ 그룹전 ]
2024 서초구 청년 갤러리 지원 전시, 서울, 6.17 - 9.15 (예정)
2023 <한국색연필화공모전>, 한국색연필화협회, 갤러리 이즈, 서울, 12.13 - 12.20
2023 <각양각색>, 바른아트센터, 바른세상병원, 창생공간재미, 성남, 12.4 - 12.28
2023 <HFAF 하남 프린지 아트페어>, 하남문화재단, 스타필드 하남, 11.1 - 11.8
2023 <Art On Loop>, the Holy Art Gallery, London, 10.6 - 10.22
2023 <신년인사회 기념전시>, 문화쳬육관광부, 예술의 전당, 1.5 - 1.8
2022 <사랑받고 남겨진> 청년예술상점 예술의전당, 9.29 - 10.5
2021 <형색지교>, 갤러리모어, 5.1 - 5.30
2020 <반얀트리>, 정수아트센터, 9.18 - 9.24
2015 <성북 도큐멘타>, 커뮤니티 디자인@성북, 11.10 - 12.10
2015 <The DIA Show; D-Scape>, 상암동 KGIT, 3.17 - 3.27
2014 <The DIA Show; Dual mode>, 상암동 KGIT, 4.23 - 4.30
2013 <주안 미디어 페스티벌>, 주안동 JuMF 2013, 10.3 - 10.6
2010 <내일을 향해 쏴라>, 대안공간 충정각, 2.3 - 2.26
[ 선정 ]
2024 서초구립양재도서관 지역예술가 전시 지원 공모 선정
2022 청년예술상점 예술의전당, 9.29 - 10.5
2021 예술청창작소 <너, 내가 사랑하는>선정, 서울문화재단, 12.18
2020 서울시-문체부 공공미술 프로젝트 공모 선정(예선) 10.12
[ 논문 출판 ]
2016 <영상 기반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에서 풍경을 통한 공간 재현에 관한연구>,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2015 <유아동 창의성 증진을 위한 모바일 AR Book 미술교육 콘텐즈 설계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협회
2014 <유아동 AR 모바일 미술교육 콘텐즈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2014 <영상의 오버레이 효과를 통해 시공간의 중첩을 표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구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도시의 산책자>증심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 Articles ]
<8명의 청년작가와 만나는 시간>-비젼성남
<내일을 향해쏴라> 전시 프리뷰 - CNB뉴스
Artist's Note
나는 공간을 경험하면서 회고되는 기억과 정동을 현재에 존재하는 사물과 자연물로 은유하여 풍경의 형식으로 재현해왔다.
집단안에서 펼쳐지는 개인의 기억이나 정서적 상황을 도시 공간을 이루는 무기물과 유기체에 기인한 풍경으로 재현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핍진한 꿈으로 획일화된 세계에서 개인성을 억누르거나 타자의 욕망을 자신의 방향성으로 삼는 현대인의 모습은 마치 유일한 목적을 향해 뭉쳐진 자연의 개체들처럼 보이곤 한다.
이처럼 각자의 생김새를 지우고 하나의 이상적인 형태를 지향하며 따르며 순응하는 일은 이 세계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이들이 경험하는 일상이다.
그러나 나무와 줄기, 꽃과 이파리를 하나씩 떼어 관찰해보면 서로 미세하지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듯이, 각 개인이 가진 고유한 역사와 개별성이 존재한다.
덩어리진 군집들 사이에서 존재하는 개별적 서사를 드러내고 구현하고자 했다.
최근의 작업들은 현대인의 욕망을 최대치로 구현한 사물로서 콘크리트 건축물을 성정하여 도시 공간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무기물과 대비를 이루는 자연의 유기물들,
혹은 정돈된 도시 공간과는 어울리지 않는 버려진 것들이나 흐트러진 사물들을 도시의 풍경으로 재현하며 공존에 대한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